정보보호전공 (Information Security)
- Tel : 450-2710
- FAX : 452-6215
교육목표
- 창의적인 정보보호 전문능력을 소유한 인재양성
- 산업현장에서 요구하는 정보보호 실무능력을 보유한 인재양성
- 국제적인 정보보호 기술발전 흐름을 이해하고 이를 기반으로 다양한 시스템을 설계 및 개발 가능한 인재양성
교수소개
성명 | 직급 | 최종학위 | 전공분야 | 전화번호/e-mail |
---|---|---|---|---|
서재현 | 교수 | 이학박사 | 네트워크보안 | 450-2712(jhseo@mokpo.ac.kr) |
정석원 | 교수 | 이학박사 | 암호학 | 450-2714(jsw@mokpo.ac.kr) |
김현곤 | 부교수 | 공학박사 | 컴퓨터보안 | 450-2715(hyungon@mokpo.ac.kr) |
김민수 | 부교수 | 이학박사 | 침입탐지 | 450-2716(phoenix@mokpo.ac.kr) |
이경률 | 조교수 | 공학박사 | 응용보안 | 450-2713(carpedm@mnu.ac.kr) |
교육과정
교과목번호 | 교과목명 | 학점(시간) |
---|---|---|
RQ 651 | 네트워크 특론 (Special Topics on Computer Networks) | 3 |
RQ 652 | 네트워크보안 특론 (Special Topics on Computer Network Scurity) | 3 |
RQ 653 | 현대 암호화 방법론 (Modern Encryption Methodology) | 3 |
RQ 654 | 보안적합성 평가 (Security Compliance Assessment) | 3 |
RQ 655 | 컴퓨터 포렌식 방법론 (Methodology on Computer Forensics) | 3 |
RQ 656 | 해킹 및 바이러스 (Computer Hacking and Viruses) | 3 |
RQ 657 | 이동통신 보안 (Security on Mobile Networks) | 3 |
RQ 658 | 차량통신 보안 (Security on Automotive Communication) | 3 |
RQ 659 | 제어시스템 보안 (Security on Control Systems) | 3 |
RQ 660 | 네트워크보안 최적화 (Optimization on Computer Network Security) | 3 |
RQ 661 | 정보보호 특론 세미나1(Seminars with Special Topics on Computer Information Security 1) | 3 |
RQ 662 | 정보보호 특론 세미나2(Seminars with Special Topics on Computer Information Security 2) | 3 |
계 | 12개 교과목 | 36 |
교과목해설
- 네트워크 특론 (Special Topics on Computer Networks)
데이터 전송 기술, 데이터 통신의 기초, 데이터 링크 제어 기술 등 정보통신의 기반 기술과 함께, 유/무선 LAN, WAN 등의 데이터 통신망 기술을 다루며, TCP, UDP, IP, HTTP, FTP 등의 인터넷 프로토콜의 동작 원리를 학습함 - 네트워크보안 특론 (Special Topics on Computer Network Security)
다양한 네트워크 구조/기술에서 가능한 보안위협요소를 정의하고, 이러한 위협에 대처하기 위해서 제안된 보안 방법론을 학습함 - 현대 암호화 방법론 (Modern Encryption Methodology)
초기의 암호는 메시지 보안에 초점이 맞추어져 군사 또는 외교적 목적으로 사용되었지만, 현재는 메시지 보안이외에도 인증, 서명 등을 포함하고 있으며 이같은 다양한 암호화를 통해 정보 안정성을 보장하기 위한 기법들을 학습함 - 보안적합성 평가 (Security Compliance Assessment)
국가정보통신망의 보안수준을 제고하고, 외부의 사이버위협에 대응하기 위해 공공기관 및 기업에서 도입하는 IT 시스템의 보안기능에 대한 안정성 평가에 관한 과정을 학습함 - 컴퓨터 포렌식 방법론 (Methodology on Computer Forensics)
컴퓨터를 활용한 범죄가 다양해지는 환경에서 컴퓨터에서 증거 수집, 분석, 보존하는 절차를 이해하고, 컴퓨터 증거 수집 및 보존, 의미있는 정보 검색 및 분석, 포렌식을 위한 법률적 해석, 컴퓨터 내의 행위에 대한 타임라인 분석 등과 같은 방법을 학습함 - 해킹 및 바이러스 (Computer Hacking and Viruses)
다양한 해킹 기법 및 도구에 대한 분석과 대응 방안, 바이러스, 웜, 트로이목마와 같은 악성 코드의 원리와 치료 기법 등에 관련한 이론과 기술을 학습함 - 이동통신 보안 (Security on Mobile Networks)
다양한 스마트기기 보안 프로그래밍, 권한/정보 유출 악성 어플리케이션 보안, 플랫폼/기타 악성 어플리케이션 보안 위협, 무선 N/W 보안 프로젝트 등에 관하여 학습함 - 차량통신 보안 (Security on Automotive Communication)
최근 차량 간 통신 및 차량과 인프라 간 통신을 활용하여 차량 주행의 안전성을 높이고 교통 체계의 운영 및 관리를 과학화를 통한 지능형 교통 시스템의 상용화가 진행중이며, 이를 위한 다양한 차량 통신 보안 요구사항 및 보안 위협들을 학습함 - 제어시스템 보안 (Security on Control Systems)
산업설비에 대한 계측과 제어, 플랜트 상태의 감시, 전력의 생산 및 분배, 열차·항공 등의 교통 인프라 제어, 댐 수문과 같은 각종 자원의 감시와 제어의 역할을 수행하는 제어시스템을 안전하게 보호하기 위한 다양한 보안기술들에 대해 학습함 - 네트워크보안 최적화 (Optimization on Computer Network Security)
다양한 통신기술의 발달로 인해 수많은 형태의 네트워크가 개발되고 있으며 이같은 다양한 환경에 최적화된 보안기술을 적용하기 위한 기법들을 학습함 - 정보보호 특론 세미나1 (Seminars with Special Topics on Computer Information Security 1)
최근 이슈가 되는 정보보호 문제 및 대응 기법에 대해 토론함 - 정보보호 특론 세미나2 (Seminars with Special Topics on Computer Information Security 2)
최근 이슈가 되는 정보보호 문제 및 대응 기법에 대해 토론함